계리(計理)란?
보험료 산출 및 책임준비금 계상의 적정성을 확인하는 등 위험보장 등과 관련하여 보험회사가 수입하거나 적립하는 금액을 통계적ㆍ수리적 방법으로 계산하거나 평가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보험 및 금융의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문제해결 전문가
계리사는 미래에 다가올 보험 및 금융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합니다.
계리사는 수학·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하고 미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 합니다.
보험계리사의 역량 및 역할
우리 사회의 직면한 복잡한 불확실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분석하는 능력,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 인간의 행동 패턴에 대한 이해 등의 역량이 필요합니다.
계리사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1보험·금융 상품의 기획 및 개발
2수리·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보험료 산출 및 준비금 적립
3손익의 원인 분석 및 평가를 통해 잉여금의 합리적 배분
4보험계약의 미래현금 흐름 예측을 통한 전사적 경영 관리(사업계획, 경영전략, 위험관리, 부채/손익 관리 등)
5IAA, ACC 등 국제기관과의 협업을 통해서 합리적인 계리제도 정립
6리스크 관리 기법의 개발 및 평가를 통해 경영의 건전성 및 합리성 측정
7금융·경제의 급격한 변동을 감안한 재무 건전성 테스트 및 관리
8보험 관련 업무 처리 기준 설정
9각 종 통계분석을 통한 경영지표 제시
보험분야와 보험계리사
1. 보험 운영의 기초인 예정이율, 예정위험율, 예정사업비율 등 보험에서 사용되는 제반 기초 이율에 관한 사항
2. 보험료 계산 및 해약환급금의 계산에 관한 사항
3. 책임준비금, 비상위험준비금 등 제 준비금의 계산 및 평가에 관한 사항
4. 재보험의 최적보유율(Retention)의 결정과 초과 재보험의 요율 검토
5. 잉여금의 합리적인 배분 및 계약자배당에 관한 사항
6. 보험회사의 지급여력에 관한 사항
7. 재무건전성 및 경영의 합리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기획, 영업, 투융자 등의 분야에 대한 방향 제시
8. 보험계약의 정정 및 변경에 대한 수리적인 계산에 관한 사항
9. 기타 보험수리상 관련되는 제반사항
연금분야와 보험계리사
1. 연금수리의 기초적인 기초율(예정 퇴직율, 예정 승급율, 예정 탈퇴율, 예정 급여 상승율 등)의 예측 및 산정
2. 연금제도의 설계
3. 연금재정의 운영 및 평가
4. 연금수리 및 연금재정의 안전성 검토
5. 연금제도의 세무 및 회계
6. 기타 제반 통계 분석
보험경영과 보험계리사
보험계리사는 상품개발을 통해 상품가격의 원가에 대한 정확한 흐름을 파악하고 있어 리스크의 사전 예측 및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리스크 관리 전문인으로 역할을 할 수 있어 경영의 건전성 및 합리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 함으로서 보험이나 연금 분야에 있어서 계리사의 활동은 비약적으로 확대 될 것입니다.
정부 및 감독관련기관과 보험계리사
보험계리사는 국제화, 자유화의 흐름으로 경영의 투명성, 합리성 및 건전성이 요구됨에 따라 보험이나 연금제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제반 정책방향에 대하여 정부 및 감독기관과의 상호 의견교환의 기회가 증대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보험계리사는 확률, 보험수리 통계의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로서 보험 및 연금제도의 근원인 불확실한 사상을 합리적으로 예측, 분석 및 평가를 통해서 보험 가격의 결정에서 보험판매의 운용 방향 및 투융자를 통한 투자 분석의 평가 등을 통해서 보험 가격 책정의 설정 운영, 리스크 관리 분석 및 방향,
재무 건전성에 대한 제도 수립 및 운영, 손익분석 및 잉여금의 배분에 대한 제도 수립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